구글이 10일(현지시각)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 23'에서 대화형 AI '바드(Bard)'의 한국어 버전을 전격 공개했다. 이번 발표로 한국은 바드가 가장 먼저 서비스되는 국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라인 엠피씨어터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 '팜2(PaLM)'를 탑재한 바드는 과학과 수학 분야의 광범위한 교육을 통해 논리와 추론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씨씨 샤오 구글 어시스턴트 사업부 총괄은 "100개 이상의 다국어 텍스트 교육을 받은 팜2를 통해 180개 국가와 지역에 바드를 전면 개방하며, 그 중 한국어와 일본어를 가장 먼저 지원한다"고 밝혔다. 피차이 CEO는 발표에서 서울에 있는 동료와 함께 한국어로 된 설명을 추가해 코드 디버깅 작업을 하는 예시를 직접 시연하며 바드의 한국어 지원 능력을 선보였다. 이는 한국 사용자들에게 바드가 실제 업무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인상적인 장면이었다. 한편, 바드는 스프레드시트 기능과 20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해 개
좋은땅출판사가 'ChatGPT 시대 탁월성 교육'을 펴냈다. ChatGPT 등장을 시작으로 우리 사회는 AI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 가운데 교육계에서는 지식 습득이 입시 위주의 교육이 아닌 각자의 '탁월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답은 AI가 더 정확하고 잘 맞출 수 있는 만큼, 미래에는 어떻게 생각하고 질문하느냐가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공감과 소통, 그리고 인성이 무엇보다 중요해질 것이다. 역량 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서 교육에 대한 근본 인식과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법을 고안한 것이 바로 '탁월성 교육'이다. '탁월성 교육'은 아이의 고유한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기질이 다른 아이들을 이해하고, 필요한 공부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맞춤형 교육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어떤 기질이냐가 아닌, 타고난 아이의 성향을 이해하는 부모의 안목이다. 저자가 교육계에 몸담으며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깨달은 것은 부모가 아이의 조력자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