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미생물, 췌장암 위험 3배↑…정기적 구강 관리가 답이다
입속 세균과 곰팡이가 췌장암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뉴욕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은 구강 내 특정 미생물 군집이 췌장암 위험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구강 위생이 단순한 치주 질환 예방을 넘어 암 예방의 문을 여는 핵심 변수”라고 강조했다. #900명 장기 추적…유해 미생물 군집, 위험 3배 이상 연구는 미국 성인 약 900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연구 초기에 구강 세정제로 입을 헹군 뒤 타액 샘플을 제공했으며, 연구팀은 생활 습관·병력 정보를 함께 수집해 약 9년간 추적 관찰했다. 분석 결과, 유해한 세균·곰팡이로 구성된 특정 군집이 존재할 때 췌장암 발병 위험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특히 잇몸뼈를 파괴하는 치주 질환 연관 박테리아 일부가 위험 신호로 지목됐다. #첫 실마리: 칸디다의 관여 가능성 이번 연구의 의미는 효모의 일종인 칸디다(Candida)가 췌장암과 연관될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이다. 연구는 인과관계를 단정하지 않고 상관관계를 보고했지만,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이 전신 질환에 미치는 파급력을 재확인하며 향후 메커니즘 규명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
- 세계문화예술신문 lsh
- 2025-09-21 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