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동두천 -1.0℃
  • 맑음강릉 6.1℃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1.8℃
  • 맑음대구 5.1℃
  • 맑음울산 3.7℃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6.1℃
  • 맑음고창 3.1℃
  • 구름많음제주 11.0℃
  • 맑음강화 0.0℃
  • 맑음보은 -1.4℃
  • 맑음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3.7℃
기상청 제공

라이프

까만 점 생긴 배추, 버리기엔 너무 아까운 이유

겉모습만 보고 버리는 순간, 당신은 이미 ‘숨은 신선함’을 놓치고 있을지도 모른다

 

까만 점, 정말 위험한 걸까? 소비자가 몰랐던 배추의 비밀

겨울 김장철이 다가오면 장바구니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배추다. 그런데 막상 배추를 손질하다 보면 줄기나 잎맥 주변에 **까만 점(흑반점)**이 박혀 있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많은 소비자가 이를 벌레 피해나 부패로 오해해 통째로 버리곤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그 까만 점, 사실 배추가 스트레스를 이겨내며 더 단단히 자란 흔적입니다.”

 

■ 까만 점의 정체는 ‘폴리페놀 산화’

배추에 생기는 까만 점 대부분은 ‘점무늬 증상(pepper spot)’ 또는 **‘폴리페놀 산화 현상’**으로 불린다. 이는 농산물이 외부 환경—온도 변화, 수분 부족, 물리적 충격—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스스로 방어하며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폴리페놀 성분은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어 인체에 해가 없다. 오히려 영양학적으로는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 버릴 필요 없는 이유 3가지

  1. 부패가 아니다
    점이 있다고 해서 세균이 번식한 것이 아니다. 썩은 부분처럼 냄새나 물컹함이 없다면 안전하다.

  2. 조리하면 거의 티 나지 않는다
    찌개·볶음·김치처럼 양념과 열이 들어가는 음식에서는 까만 점이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식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영양소가 그대로
    잎 전체가 변색된 것이 아니라면 비타민 C, 식이섬유, 수분 등은 유지된다.
    단, 점이 심하게 번진 일부 부분만 도려내면 충분하다.

 

 

■ 오히려 “잘 자란 배추”의 증거라는 말도

일부 농업 전문가들은 까만 점을 **“배추가 포기되지 않고 성장한 기록”**이라 설명한다. 즉 갑작스러운 추위나 건조함 속에서도 잘 버텨낸 배추라는 것이다.
겉모습만으로 ‘불량’이라 판단하고 버리는 소비가 줄어든다면 농가에도 큰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언제는 먹으면 안 될까?

아래의 경우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 점이 아니라 잎 전체가 누렇게 변색되었을 때

  • 물컹하고 냄새가 날 때

  • 까만 점 주변에 곰팡이 솜털이 생겼을 때

  • 칼집을 넣었을 때 안쪽까지 흑갈색으로 깊게 침투한 경우

이 경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닌 부패 또는 곰팡이 감염의 신호다.

 

 

버리기 전에 한 번만 더 살펴보자

우리는 종종 “보기 좋은 음식이 맛도 좋다”는 고정관념 속에 산다. 하지만 자연에서 자란 식재료는 우리가 모르는 수많은 환경을 견디며 성장한다. 까만 점은 그 여정의 흔적일 뿐, 배추의 가치와 영양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음식물 쓰레기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지금, 겉모습보다 ‘본질’을 보는 소비가 필요하다.
까만 점이 조금 있다고 해서 통째로 버린다면, 사실 가장 아까운 건 우리가 스스로 놓친 알짜 식재료일지도 모른다.


 

해시태그

#까만점배추 #흑반점 #배추상식 #김장철꿀팁 #세계문화예술신문 #라이프 #음식물쓰레기줄이기 #건강한식재료 #배추보관법 #생활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