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의 생명을 되살리는 손끝의 예술, 대한민국 대한명인 김현용, 조율·수리·리빌트의…
세계문화예술신문 피아노는 단순한 악기가 아니다. 약 8,000~10,000개의 정교한 부품이 시계처럼 맞물려 움직이는, 하나의 ‘소리 생명체’이자 예술 작품이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 피아노의 음정과 터치, 울림은 흐트러지고 본래의 생기를 잃는다. 그때 필요한 것이 바로 ‘조율(Tuning)·수리(Repair)·리빌트(Rebuild)’다. 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예술과 과학, 장인정신이 어우러진 피아노 복원의 세계다. 이 분야에서 35년간 한 길을 걸어온 인물이 있다. 대한민국 대한명인회로부터 2021년 ‘피아노조율·수리’ 부문 대한명인으로 지정된 김현용 명인이 그 주인공이다. 그는 지금까지 9만여 대의 피아노를 되살려낸 장인으로, 피아노의 ‘소리 생명’을 되찾는 일을 인생의 소명으로 삼고 있다. “피아노는 단순한 물건이 아닙니다. 사람의 감정과 추억이 담긴 악기입니다. 저는 단순히 음을 맞추는 조율사가 아니라, 그 악기가 지녔던 본래의 울림을 되찾아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 조율(Tuning) – 피아노의 숨결을 불어넣는 예술 피아노 한 대에는 약 230여 개의 현이 있다. 이 현들은 서로 미세한 장력 균형을 이루며 울림을 만들어내는데, 온도나